[논문] 학습에서의 성찰 및 교육과정에의 적용 방안(윤지영, 온정덕, 2022)

2022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교육 과정 구성의 중점으로서 학습에 대한 성찰을 강조한다. 이는 OECD Education 2030프로젝트에서도 행위 주체성 변혁적 역량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학습 과정에 성찰을 반영했다. 며칠 전 온양 마사노리(·김종덕)교수의 연수에서도 학습으로서의 평가를 강조하며 성찰을 언급했다. 논문을 찾아보면 최근 성찰을 중심으로 발표된 논문이 있었다. 실천에 연결하는 좋은 내용이 많아 정리한다. 윤·지영, 온·김종덕(2022). 학습의 성찰 및 교육 과정 적용 방안 고찰. 교육 과정 연구, 40(1), 1-27.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으로 학습에 대한 성찰을 강조한다. 이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도 행위 주체성 변혁적 역량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학습 과정에 성찰을 반영했다. 며칠 전 온정덕 교수 연수에서도 학습으로서의 평가를 강조하며 성찰을 언급했다. 논문을 찾아보니 최근 성찰 위주로 발표된 논문이 있었다. 실천으로 이어질 좋은 내용이 많아 정리해 둔다. 윤지영 온종덕(2022). 학습에서의 성찰 및 교육과정 적용 방안 고찰. 교육과정 연구, 40(1), 1-27.

교육 과정에서 성찰 적용 방안의 성찰은 학습에서 기억의 보존과 인출, 생성적 학습을 이끌고 자기 조절 학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학습 과정에서 성찰은 가질 능력이 아니라 학습 가능하다 반드시 학습되어야 하는 기능이다.교육 과정 적용 방안 메타 인지 영역 일반성 혹은 영역 특수성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창조성의 영역 논란과 마찬가지로 영역 일반적인 메타 인지는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학습할 수 있고, 새로운 상황에 전이할 수 있지만 각각의 과제 혹은 영역 개별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특수한 메타 인지조차 존재한다(Veenman, Van Hout-Wolters, Afflerbach, 2006).각 교과에서 메타 인지를 학습에 적용하는 방법은 교과 교육 과정 내용 체계나 성취 기준에 메타 인지 관련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자국어 교육 과정(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06)의 사례를 볼 수 있다. 온타리오 주의 자국어 교육 과정은 구어 커뮤니케이션, 읽고 쓰기, 미디어 리터 러시의 4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역별로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내용 요소로 학습 조직자를 설정하고 있다. 학년별로 학습을 마친 학생들이 할 성취 기준으로 전반적 기대(Overall Expectations)와 구체적 기대(Specific Expectations)을 제시한다.

전반적인 기대를 구체화한 구체적인 기대는 해당 학년의 학생이 어떤 텍스트에서 어떤 사고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하는지를 상세히 제시한 것이다. 함께 제시된 학습 사례와 교사 촉진 질문(teacher prompts)는 교육 과정을 읽는 교사가 같은 학습 조직자 내에서 학생의 학습 내용이 어떻게 심화, 확장되는지를 알린다.

전반적인 기대를 구체화한 구체적인 기대는 해당 학년 학생들이 어떤 텍스트로 어떤 사고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하는지를 상세히 제시한 것이다. 함께 제시된 학습사례와 교사촉진질문(teacher prompts)은 교육과정을 읽는 교사에게 동일한 학습조직자 내에서 학생의 학습내용이 어떻게 심화, 확장되는지 알려준다.성찰을 학습 활동에 포함하도록 안내하는 방법은 Wiggins, Mctighe(2012)이해 중심 교육 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다.(WHERETO의 R은 Rethink, Revise, Reflect경험을 수업 활동에 반영해야 함을 의미)Earl(2013)은 학습 과정으로 평가(assessment as learning)은 평가에 성찰을 반영하는 방안을 다룬다. Earl은 미래를 살아가는 현재의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역량과 자신을 갖게<Table 3>처럼 기존 평가의 목적에 학습 과정으로 평가를 추가로 제시한다. 학습 과정으로서의 평가는 학생의 메타 인지를 계발하고 지원하는 과정에 목적이 있고, 교실에서 사용되며 형성 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동안 형성 평가는 관찰, 질문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의 학습을 발전시키는 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교사의 관점에서 학생에 대한 자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집, 분석함으로써 학생의 학습 요구를 파악하고 수업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 학생의 학습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이다. 반면 학습 과정으로서의 평가는 형성 평가라는 같은 평가의 형태를 사용하지만 평가의 학습 과정에 능동적인 참가자로서 평가와 학습을 연결하는 주체로 학습자의 관점을 강조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을 점검하고 점검을 통해서 얻은 피드백을 이용하고 자신의 이해를 조정하고 변화시킨다. 이런 평가는 학습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수업의 일부로 실시되고 학생들이 학습의 전과정에서 평가를 경험한 학생들은 자신의 지식을 사용하고 의미를 구성하는 자신의 이해 상태를 점검하고 다음에 해야 할 일을 정하고 계획함으로써 자신의 학습을 발전시킬 수 있다.Earl(2013)은 학습 과정으로 평가를 통해서 학습자의 메타 인지를 계발하는 독립적인 학습자에게 성장하도록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평가 및 환경 측면에서 교사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교육 과정 목표가 잘 드러난 사례와 잘 된 수행 모델 수준 높은 활동 결과를 제공하고 좋은 수준의 명확한 기준을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야 한다.학습 과정에서 자기 평가의 방법을 교사가 학생을 모델링 하고 가르쳐야 하며 학생들이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발전 정도를 점검하도록 안내해야 한다.이 때문에 학생들이 자기 평가에 능숙하게 되도록 주기적으로 도전적인 훈련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또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만 아니라 메타 인지 과정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서술적 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며, 학생들이 안심하고 도전할 수 있고, 쉽게 지원을 받는 학습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교실에서 일상적으로 이뤄지는 형성 평가를 통해서 학습 과정으로 평가를 실천하는 방법은 다음의 5가지로 요약된다(Leatyetal.2005).첫째, 학생들과 함께 학습 의도와 성공 기준을 명확히 확인하는 공유한다. 예를 들면, 이전 학생들이 완성된 과제 샘플을 학생들에게 공유하고 좋은 것과 모자란 게 뭔지, 왜인지 토론한다.둘째, 교실 토론, 질문, 학습 과제를 효과적으로 설계한다. 잘 계획된 질문은 학생들이 깨닫게 하고 교사가 진행 중인 수업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셋째, 학습자를 성장시키는 피드백을 제공한다. 학생이 성장하도록 필요한 내용을 적절히 다루는 피드백은 루 브릭과 이어지고, 문자로 표현하는 성적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을 촉진한다.넷째, 학생들이 합의한 성공 기준을 사용하고 자신의 과제를 평가하는 등의 방식으로 학생들을 자신의 학습의 주인으로 활동시킨다.다섯째, 학생들이 서로 교육이 되도록 격려한다. 동료 평가와 서로의 피드백은 교사의 피드백보다는 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이해되고 받아들여진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